본문 바로가기
투자

파월의 테이퍼링 과 금리인상 발언

by 리치메이커 2021. 9. 30.

얼마 전 ECB가 주최한 포럼에서 파월 의장의 연설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어제 미국 시장은 큰 폭의 하락이 있었습니다.

파월 의장이 했던 발언은 인플레이션과 조기 금리인상 발언이었습니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급등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는 현상은 강하게 늘어나는 수요에 대비해 공급이 받쳐주지 못해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금년 초기 인플레이션이 처음 급등했던 시기에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다. 

중고차 등의 일부 품목의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상승한 것이지, 상승한 품목의 공급만 개선되면 인플레이션은 다시 안정화될 것이다라고 한 게 파월 의장의 의견이고, 대부분 경제 주체들의 의견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고차의 가격이 안정화되었음에도 인플레이션은 안정되지 않고 여전히 높은 상태입니다.

게다가 이번 파월 의장의 연설에서도 인플레이션이 기존에 생각했던 것보다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 라고 발언을 했습니다.

 

이유는 공급의 병목현상 즉 차량용 반도체 등과 같은 산업재, 원자재 등의 공급 부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지속 유지될 것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추가로, 이번에는 인플레이션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추정하기 어렵다는 발언까지 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유발하기도 했습니다.

FOMC 회의나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은 걱정없다. 고용지표만 개선되는지를 확인하고 있다는 기존 입장에서 180도 태도를 바꾼 것입니다.

 

기준금리 인상

금번 연설에서 파월의장은 기준금리 조기 인상에 대해서도 발언을 했습니다.

현재 기대인플레이션을 주의깊게 지켜보고 있는데 기대인플레이션이 예상과 다르게 크게 상승하게 되면 금리인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라고 강조했습니다.

 

다행히도 아래 그래프와 같이 (출처 : 미국 FRED Site) 아직은 기대인플레이션은 안정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이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면 실질금리가 상승하게 되고 금리인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 기대인플레이션 : 기업, 개인 등 경제 주체들이 미래의 물가상승률을 예측한 지표입니다.

이러한 기대 인플레이션은 미래의 경제를 예측하는데 많은 경제주체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실질금리 : 물가상승을 반영한 금리를 말합니다.

명목금리 - 기대인플레이션으로 계산되며 현재는 명목금리 대비 기대인플레이션 증가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인 상태입니다.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모든 자산시장이 얼어붙게 됩니다.

말 그대로 금리가 인상되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돈을 은행에 예치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 당연히 주식, 부동산, 원자재, 암호화폐 등에 투자되어 있는 돈들이 빠져나와 은행으로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자산 가치의 폭락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 개인 할 것 없이 현재 모든 경제주체의 부채 수준은 사상 최고치에 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부터 부채가 최고치였는데 코로나로 인해 부채는 더더욱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리인상을 하게 된다면 파산 또는 연체하게 되는 경제주체들이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즉, 경제 위기가 올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2008년 금융위기로 양적안화를 진행한 후 정상화 시점에 금리인상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도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신흥국 모두 자산 시자이 폭락한 이력이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인상 발언 하나로 이렇게 주식시장이 출렁이게 되는 겁니다.

오늘 한국시간 21시 30분경에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와 미국 GDP 발표,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런 경제 지표들의 발효에 따라 테이퍼링, 금리인상 시기가 지속 변경되고 있으니 오늘 발표될 경제 지표들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이슈와 테이퍼링, 금리인상 이슈까지 빅 이벤트들이 동시에 발생되어 경제의 불확실성이 너무나 큰 요즘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경제지표들, 기사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자산을 지킬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인 듯합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R 소형원자로 1편  (0) 2021.10.03
헝다그룹 파산 정리  (0) 2021.10.01
배당주 , 파이어족을 위한 투자  (0) 2021.09.29
옵션뜻 , 옵션거래 개념정리  (0) 2021.09.28
선물투자 , 선물거래 개념 이해하기  (0) 2021.09.27

댓글0